빈자리를 받아들이기

2017. 7. 5. 17:03

빈자리를 받아들이기



“자연의 필연성에 의해 모든 존재는 자기가 가진 힘을 전부 사용한다는 것을, 우리는 신들에 대해서는 전승에 의해 믿으며, 사람들에 대해서는 경험에 의해 알고 있다.”(투키디데스). 기체가 그렇듯, 영혼은 자신에게 주어진 공간 전체를 점유하는 경향이 있다. 수축하면서 빈자리를 남기는 기체가 있다면, 그것은 엔트로피 법칙에 반하는 것이리라. 그리스도인들의 신은 그렇지 않은 경우이다. 그는 초자연적인 신이다, 야훼가 자연적인 신인 반면에.

가진 힘을 다 쓰지 않는 것은, 빈자리를 견디는 것이다. 그것은 자연의 모든 법칙에 반하는 일이다: 은총만이 그렇게 할 수 있다.

은총은 채워 준다. 그러나 그것을 받아들이기 위한 빈자리가 마련된 곳에만 들어올 수 있으며, 그 빈자리는 은총이 만들어 낸다.



보상의 필연성, 우리가 주는 것에 상응하는 것을 받을 필연성. 그러나 만약 이 필연성에 위력을 행사하여, 빈자리를 남겨두면, 공기의 흡인 작용 같은 것이 일어나고, 초자연적인 보상이 찾아온다. 그것은 우리에게 다른 보답이 있을 때에는 오지 않는다: 빈자리가 그것을 오게 한다.

빚을 면해주는 것도 마찬가지이다(다른 사람들이 우리에게 끼친 해뿐만 아니라, 우리가 그들에게 행한 선행도 해당된다). 이때도 우리는 자신 안에 빈자리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자신 안에 빈자리를 받아들이는 것은, 초자연적인 일이다. 대가 없는 행위를 위한 에너지를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에너지는 다른 데서 와야 한다. 그러나, 먼저 떼어놓는 아픔이, 절망적인 무엇이 필요하며, 먼저 빈자리가 생겨나는 것이 필요하다. 빈자리: 어두운 밤.

칭찬과 동정(특히 이 두 가지가 뒤섞인 것)은 실제의 에너지를 가져다준다. 그러나 그것을 떠나야 한다.

자연적인 보상도 초자연적인 보상도 없는 시간이 필요하다.



세계가 신을 필요로 하려면, 빈자리가 있는 세계라는 표상이 필요하다. 그것은 악을 상정한다.



진리를 사랑하는 것은 빈자리를 견디는 것이며, 따라서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진리는 죽음과 같은 쪽에 있다.



인간은 이 세계의 법칙들로부터 섬광의 지속 동안만 벗어날 수 있다. 정지의, 관조의, 순수 직관의, 정신적 공백의 순간, 정신적 빈자리를 받아들이는 순간. 초자연적인 것이 가능한 것은 이 순간들에서다.

얼마간 빈자리를 견디는 자는, 초자연의 빵을 받게 되거나, 쓰러지게 된다. 끔찍한 위험, 그러나 무릅써야 한다, 희망 없는 순간마저도. 그러나 달려들어서는 안 된다.




ACCEPTER LE VIDE



« Nous croyons par tradition au sujet des dieux, et nous voyons par expérience au sujet des hommes que toujours, par une nécessité de nature, tout être exerce tout le pouvoir dont il dispose » (Thucydide). Comme du gaz, l’âme tend à occuper la totalité de l’espace qui lui est accordé. Un gaz qui se rétracterait et laisserait du vide, ce serait contraire à la loi d’entropie. Il n’en est pas ainsi du Dieu des chrétiens. C’est un Dieu surnaturel au lieu que Jéhovah est un Dieu naturel.

Ne pas exercer tout le pouvoir dont on dispose, c’est supporter le vide. Cela est contraire à toutes les lois de la nature : la grâce seule le peut.

La grâce comble, mais elle ne peut entrer que là où il y a un vide pour la recevoir, et c’est elle qui fait ce vide.



Nécessité d’une récompense, de recevoir l’équivalent de ce qu’on donne. Mais si, faisant violence à cette nécessité, on laisse un vide, il se produit comme un appel d’air, et une récompense surnaturelle survient. Elle ne vient pas si on a un autre salaire : ce vide la fait venir.

De même pour la remise des dettes (ce qui ne concerne pas seulement le mal que les autres nous ont fait, mais le bien qu’on leur a fait). Là encore on accepte un vide en soi-même.

Accepter un vide en soi-même, cela est surnaturel. Où trouver l’énergie pour un acte sans contrepartie ? L’énergie doit venir d’ailleurs. Mais pourtant, il faut d’abord un arrachement, quelque chose de désespéré, que d’abord un vide se produise. Vide : nuit obscure.

L’admiration, la pitié (le mélange des deux surtout) apportent une énergie réelle. Mais il faut s’en passer.

Il faut être un temps sans récompense, naturelle ou surnaturelle.



Il faut une représentation du monde où il y ait du vide, afin que le monde ait besoin de Dieu. Cela suppose le mal.



Aimer la vérité signifie supporter le vide, et par suite accepter la mort. La vérité est du côté de la mort.



L’homme n’échappe aux lois de ce monde que la durée d’un éclair. Instants d’arrêt, de contemplation, d’intuition pure, de vide mental, d’acceptation du vide moral. C’est par ces instants qu’il est capable de surnaturel.

Qui supporte un moment le vide, ou reçoit le pain surnaturel, ou tombe. Risque terrible, mais il faut le courir, et même un moment sans espérance. Mais il ne faut pas s’y jeter.

'시몬 베유, 『 중력과 은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성과 은총, 발췌 II  (0) 2017.07.08
지성과 은총, 발췌 I  (0) 2017.07.06
주의력과 의지, 발췌 III  (0) 2017.07.02
주의력과 의지, 발췌 II  (0) 2017.07.02
주의력과 의지, 발췌 I  (0)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