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자리와 보상, 발췌 II

2017. 8. 4. 20:48

두통. 그러한 순간: 고통을 우주에 내던지면 고통은 줄어들지만, 우주는 변질된다; 제자리로 되돌려 놓으면, 고통은 더욱 격렬해지지만, 내 안의 어떤 것은 고통 받지 않은 채 변질되지 않은 우주와 접촉을 유지한다. 정념을 다룰 때도 마찬가지로 할 것. 그것을 가라앉히고, 하나의 지점으로 되돌려 놓은 다음, 그것에 초연해질 것. 특히 모든 고통을 이와 같이 다룰 것. 고통이 사물에 근접하지 못하게 할 것.



균형의 추구가 나쁜 것은, 그것이 상상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복수. 정말로 자신의 원수를 죽이거나 그에게 고통을 가하더라도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상상적이다.



나라를 위해, 가족을 위해, 친구들을 위해, 부자가 되기 위해, 사회적 지위를 높이기 위해 살았던 사람, 등등 — 전쟁이 나고, 노예로 끌려가면, 이제부터는, 영영, 자신의 힘의 마지막 한계까지 소진해야 한다, 단지 살기 위해서.

그것은 끔찍하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 아무리 보잘것없는 목적이라도 그의 눈에 띄게 되면 그는 거기에 매달리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것이 단지 옆에서 일하는 노예를 벌 받게 하는 일일지라도. 목적의 선택은 더 이상 그의 몫이 아니다. 그 어떤 목적이라도 물에 빠진 사람이 붙잡는 나뭇가지와 같다.



나라가 멸망하고 자신은 노예로 끌려간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 과거도 미래도 없었다: 그들의 생각을 어떤 대상으로 채울 수 있었을까? 거짓들 그리고 가장 낮은, 가장 애처로운 탐욕들. 이전에 그들의 도시를 지키기 위해 전투에서 죽음을 무릅썼던 것 이상으로, 닭 한 마리를 훔치기 위해 십자가형을 각오했을 것이다. 분명 그랬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와 같은 끔찍한 형벌은 필요하지 않았으리라.

혹은 생각 속의 빈자리를 견딜 수 있어야 했다.



우리가 불행할 때 불행을 응시할 힘을 갖기 위해서는, 초자연의 빵이 필요하다.



지나치게 힘든 상황이 사람을 타락시키는 기제는, 고귀한 감정들이 공급하는 에너지는 — 일반적으로 —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만일 상황이 이 한계보다 멀리 갈 것을 요구하면, 보다 많은 에너지를 가진 저열한 감정들(두려움, 탐욕, 기록 경신의 취미, 외적인 명예에 대한 애착)의 힘을 빌어야 한다.

이러한 제약으로부터 수많은 역전이 일어난다.



선에 대한 사랑에 이끌려서 고통이 있는 길로 나섰다가, 어느 시점을 지났을 때 한계에 이르러 타락하는 사람들의 비극.



[…]



동기를 이루고 있던 대상의 소멸로 인해 풀려난 에너지는 언제나 더욱 낮은 곳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다.

저열한 감정들(질투, 원한)은 격하된 에너지이다.



모든 형태의 보답은 에너지의 격하를 이룬다.



선행을 하고 나서(혹은 예술 작품을 만든 후에) 느끼는 자기만족은 상위의 에너지가 격하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른손은 왼손이 하는 일을…[각주:1]



순전히 상상적인 보답은(루이 14세의 미소) 우리가 소비한 것과 정확한 등가를 이룬다. 그러한 보답은 우리가 소비한 것에 정확히 일치하는 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 실제적인 보답이 그 자체로 과하거나 부족한 것과는 반대로. 또한 상상의 이익만이 무한정한 노력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루이 14세는 실제로 미소 지어야 한다; 미소 짓지 않는 경우, 이루 말할 수 없는 박탈. 왕은 대부분의 경우 상상적인 보답만을 지불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지불불능 상태에 빠지게 될 것이다.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종교도 마찬가지이다. 루이 14세의 미소를 얻지 못해, 우리에게 미소 짓는 신을 스스로 만들어 낸다.

혹은 자기 자신을 찬양한다. 등가의 보답이 필요하다. 이는 중력처럼 불가피하다.



사랑하는 사람이 실망시킨다. 나는 그에게 편지를 쓴다.  내가 그의 이름으로 나 자신에게 한 말을 그가 답장으로 보낼 수 밖에 없다.

사람들은 그들이 우리에게 줄 것이라고 우리가 상상하는 것을 빚지고 있다. 그들에게 그 빚을 면해 줄 것.

그들이 우리의 상상력이 만들어낸 것과 다르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신의 물러남을 모방하는 것이다.

나 역시 내가 상상하는 것과 다르다. 그것을 아는 것이 용서다.




Maux de tête. A tel moment : moindre douleur en la projetant dans l’univers, mais univers altéré ; douleur plus vive, une fois ramenée à son lieu, mais quelque chose en moi ne souffre pas et reste en contact avec un univers non altéré. Agir de même avec les passions. Les faire descendre, les ramener à un point, et s’en désintéresser. Traiter ainsi notamment toutes les douleurs. Les empêcher d’approcher les choses.



La recherche de l’équilibre est mauvaise parce qu’elle est imaginaire. La vengeance. Même si en fait on tue ou torture son ennemi c’est, en un sens, imaginaire.



L’homme qui vivait pour sa cité, sa famille, ses amis, pour s’enrichir, pour accroître sa situation sociale, etc. — une guerre, et on l’emmène comme esclave, et dès lors, pour toujours, il doit s’épuiser jusqu’à l’extrême limite de ses forces, simplement pour exister.

Cela est affreux, impossible, et c’est pourquoi il ne se présente pas devant lui de fin si misérable qu’il ne s’y accroche, ne serait-ce que de faire punir l’esclave qui travaille à ses côtés. Il n’a plus le choix des fins. N’importe laquelle est comme une branche pour qui se noie.



Ceux dont on avait détruit la cité et qu’on emmenait en esclavage n’avaient plus ni passé ni avenir : de quel objet pouvaient-ils emplir leur pensée ? De mensonges et des plus infimes, des plus pitoyables convoitises, prêts peut-être davantage à risquer la crucifixion pour voler un poulet qu’auparavant la mort dans le combat pour défendre leur ville. Sûrement même, ou bien ces supplices affreux n’auraient pas été nécessaires.

Ou bien il fallait pouvoir supporter le vide dans la pensée.



Pour avoir la force de contempler le malheur quand on est malheureux, il faut le pain surnaturel.



Le mécanisme par lequel une situation trop dure abaisse est que l’énergie fournie par les sentiments élevés est — généralement — limitée ; si la situation exige qu’on aille plus loin que cette limite, il faut avoir recours à des sentiments bas (peur, convoitises, goût du record, des honneurs extérieurs) plus riches en énergie.

Cette limitation est la clef de beaucoup de retournements.



Tragédie de ceux qui, s’étant portés par amour du bien, dans une voie où il y a à souffrir, arrivent au bout d’un temps donné à leur limite et s’avilissent.



[…]



L’énergie libérée par la disparition d’objets qui constituaient des mobiles tend toujours à aller plus bas.

Les sentiments bas (envie, ressentiment) sont de l’énergie dégradée.



Toute forme de récompense constitue une dégradation d’énergie.



Le contentement de soi après une bonne action (ou une œuvre d’art) est une dégradation d’énergie supérieure. C’est pourquoi la main droite doit ignorer…



Une récompense purement imaginaire (un sourire de Louis XIV) est l’équivalent exact de ce qu’on a dépensé, car elle a exactement la valeur de ce qu’on a dépensé — contrairement aux récompenses réelles qui, comme telles, sont au-dessus ou au-dessous. Aussi les avantages imaginaires seuls fournissent l’énergie pour des efforts illimités. Mais il faut que Louis XIV sourie vraiment ; s’il ne sourit pas, privation indicible. Un roi ne peut payer que des récompenses la plupart du temps imaginaires, ou bien il serait insolvable.

Equivalent dans la religion à un certain niveau. Faute de recevoir le sourire de Louis XIV, on se fabrique un Dieu qui nous sourit.

Ou encore on se loue soi-même. Il faut une récompense équivalente. Inévitable comme la pesanteur.



Un être aimé qui déçoit. Je lui ai écrit. Impossible qu’il ne me réponde pas ce que je me suis dit à moi-même en son nom.

Les hommes nous doivent ce que nous imaginons qu’ils nous donneront. Leur remettre cette dette.

Accepter qu’ils soient autres que les créatures de notre imagination, c’est imiter le renoncement de Dieu.

Moi aussi, je suis autre que ce que je m’imagine être. Le savoir, c’est le pardon.

  1. [역주] 200주년 신약성서, 마태오 6:3 참조할 것. “당신이 자선을 베풀 때에는 당신의 오른(손)이 무엇을 하는지 당신의 왼(손)이 모르게 하시오.” [본문으로]

'시몬 베유, 『 중력과 은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연과 복종, 발췌 II  (0) 2017.09.19
필연과 복종, I  (0) 2017.08.06
빈자리와 보상, I  (0) 2017.08.01
아름다움, II  (0) 2017.07.30
아름다움, 발췌 I  (0) 2017.07.26